콘텐츠마케팅방법
콘텐츠 마케팅, 언제 시작하는 게 좋을까? (Chapter_3 : When)
2020. 8. 25. 12:07콘텐츠 마케팅은 해도 되고 말아도 되는 비즈니스의 부속품이라기 보다, 비즈니스 그 자체입니다. 스마트해진 미디어 환경 변화로 비즈니스의 규모에 관계없이 누구나 시행해야 될 마케팅 시책. 그렇기에 그 효용을 알았다면 되도록 빠르게 대입할 수록 좋습니다. 특히 예산이 한정적인 중소기업은 더욱 이롭습니다. 계급장 떼고(?) 대기업과 동등하게 겨룰 수 있는 유일한 장이기도 하거든요. 모든 케이스가 달겠지만, 실무상 경험을 바탕으로 각 상황별 런칭 시나리오를 요약해봅니다. 과연 우리는 어디서 부터 어떤 관점으로 시작해야 하는지,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죠. 콘텐츠 마케팅, 언제 시작해야 하죠? (Case.1) 창업 준비 or 런칭 직후 Key point : 글로 생각과 고민, 고찰의 흔적을 기록하며 소셜미디어로 배포..
왜 콘텐츠 마케팅인가? (Chapter_1 : Why)
2020. 8. 14. 16:05콘텐츠 마케팅 기본서로 불리는 '조 풀리지'(Joe Pulizzi)의 저서 에픽 콘텐츠 마케팅. 개인적으로 콘텐츠 마케팅에 관심이 있다면 이 책을 반드시 읽어 보시길 권장합니다. 개념과 이해, 필요성과 중요성, 액션 플랜까지 이 한 권이면 충분합니다. 모든 분야에 기본서가 있듯 콘텐츠 마케팅 분야에서는 이 에픽 콘텐츠 마케팅이 가장 충실합니다. 물론, 이제 막 콘텐츠 마케팅을 알아가는 단계라면 다소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 글은 이런 분들의 쉬운 이해를 돕기 위함입니다. 콘텐츠 마케팅은 무엇인지, 왜 필요하고 해야 하는지, 어떤 효과를 불러 오는지 쉽고 간결하게 정리해드립니다. 콘텐츠 마케팅이란? #고유매체 #콘텐츠 #구독자 #관계형성 정의가 너무 많습니다. '이건 아니다, 이게 맞다, 아니다, 저게 맞..
중소기업을 위한 FM 콘텐츠 마케팅 가이드 (Prologue)
2020. 8. 7. 19:11콘텐츠 마케팅의 개념, 필요성, 중요성, 기대효과. 그리고 뻔한 사례. 콘텐츠 마케팅이 뭔지 이제 알겠습니다. 왜 필요한지도 알겠고, 뭐가 좋고 얼마나 중요한지도 알았습니다. 이제 우리 회사에 적용할 차례. 막막합니다. 구글에 개념, 필요성, 중요성, 혜택, 사례만 돌고 돌고 돌고 돕니다. 결국 제자리. 시작은 고사하고 시간만 쓴 채 소득이 없습니다. 쩝. 당최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 지 고민입니다. 제대로된 방법론을 찾기 어렵습니다. 블로그 마케팅, 유튜브 마케팅, 인스타 마케팅, 요즘은 틱톡 마케팅까지. 'OOO 마케팅'이라 하면 보통 방법론들이 즐비합니다. 그런데 유독 콘텐츠 마케팅 방법론은 찾기 힘드네요. 이유가 뭘까. 단순 기법 아닌, '새로운 문법'이기에. 콘텐츠 마케팅은 단순히 유튜브..
콘텐츠 마케팅은 정말 매출에 도움이 되는가.
2020. 1. 5. 13:55실제 현장에서 자주 만나는 질문입니다. 대답은 언제나 단호하죠. '네. 있습니다.' 콘텐츠 마케팅도 결국 '마케팅' 활동이니까요. 단, 조건이 있습니다. 우선 콘텐츠 마케팅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전제되어야 합니다. 구조도 알아야 하고요. 근래 들어 콘텐츠 마케팅이 왜 각광받고 있는지도 이해해야 합니다. 말 그대로 '준비'가 되어있어야 합니다. 이 준비는 비단 대행사만의 몫은 아닙니다. 콘텐츠 마케팅으로 눈에 보이는 가시적 성과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콘텐츠 마케팅을 시작하려는 브랜드 내부, 특히 실무자와 결정권자의 준비가 특히나 중요합니다. 바르게 알고 접근해야 올바른 성과로 연결할 수 있습니다. 과연, 콘텐츠 마케팅 활동으로 우리 회사 매출에 도움이 되는가. 이 질문에 대한 구체적인 답변을 드리기 위해 우..
콘텐츠 마케팅과 전통적 마케팅의 차이 10가지
2019. 12. 27. 17:27마케팅 구루 '필립 코틀러(Philip Kotler)'는 저서 'Market 4.0'을 통해 마케팅 시대를 4가지로 구분하고, 앞으로 기업과 브랜드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요약하면 이렇습니다. '마케팅의 패러다임은 4.0시대에 접어 들었고, 기존의 방식으로는 생존을 기대하기 어렵다.' 전통적 마케팅이 1.0과 2.0시대를 대변한다면, 콘텐츠 마케팅은 3.0시대과 4.0시대 마케팅 패러다임의 중심에 있습니다. 콘텐츠 마케팅은 경쟁에서의 우위를 점하기 보다 고객을 이해하는데 집중하며, 고객을 거래의 대상이 아니라 관계의 대상으로 여깁니다. 한마디로 비즈니스의 문법이 완전히 달라진 셈. 해외에서는 일반화되었지만, 국내는 아직 대기업과 중견기업, 비즈니스의 맥락을 아는 스타트업 정도에서만 제대로 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