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siness
사례로 보는 콜라보레이션 '성공vs실패' 차이
2019. 5. 31. 10:38잘 만든 콜라보레이션 상품은 협업한 브랜드의 가치를 크게 올려주고,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새롭게 정의하는 등의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콜라보레이션은 201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업종과 분야의 경계 없이 활발히 이루어져 소비자들의 지갑을 공략하고 있다. 하지만 모든 브랜드가 성공할 수는 없는 법. 패션 브랜드를 중심으로 콜라보레이션의 성공과 실패 사례와 원인을 살펴보자. 성공한 콜라보레이션(1) 회춘에 성공한 명품, 루이비통 루이비통은 100년이 넘는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가장 유명한 명품 브랜드이기도 하다. 2000년대 들어 루이비통은 미래를 고민해야 하는 처지에 놓이게 된다. 오랜 역사와 대중적인 명품이란 수식어는 그동안 루이비통을 이끌어온 브랜드 가치였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오히려 약점으로 작용..
심사위원들이 말하는 좋은 사업계획서의 조건
2019. 5. 8. 16:59사업계획서를 제출하고 피드백 없이 결과만 통보받는 일이 허다하다. 떨어진 이유를 물어봐도 묵묵부답. 뭐가 잘못됐는지 알아야 고치지 않겠는가. 하지만 나는 운이 좋게도 떨어질 때마다 담당자로부터 매번 신랄한 비판을 받을 수 있었다. 하나씩 조목조목 문제점을 지적해주니 사업계획서가 더 단단해지는 건 당연지사. 그렇게 받은 피드백을 정리하니 나름의 '오답노트'가 완성되었다. 역시 실질적인 도움은 성공 스토리보다 실패 스토리로부터 시작된다. 귀하디 귀한, 심사위원의 피드백 5가지. 세세한 내용부터 허점을 찌르는 내용까지. 정말 많은 피드백을 받았지만 추리고 추려 5가지로 정리했다. 사업계획서를 작성 중이라면, 특히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터 신청을 앞두고 있다면 아래 5가지 피드백을 통해 심사위원의 마음을 미리 엿볼..
3분 만에 배우는 블로그 글쓰기 테크닉
2019. 4. 16. 18:52야심차게 블로그를 시작한다. '하루에 꼭 한 개씩은..!'. 주먹 불끈 다짐한다. 몇 주, 아니 며칠 채 걸리지 않는다. 해마에서 블로그가 사라지기까지. 바빠서가 아니다. 기울인 노력에 비해 반응이 뜨뜻미지근하기 때문. 그렇다면 지금 작성한 글을 찬찬히 돌아보자. 뭐 이유야 여러가지겠지만, 어쨌든 당신이 좋은 글(=콘텐츠)을 썼다면 결과는 분명 달랐을 것이다. 스스로에게 물어보자. '내 글은 매력적인가?'. 그렇지 않다면 아래 내용을 참고해보자. 필력이 부족한 블로거에게 도움되는 블로그 글쓰기 테크닉 5가지. Q. 어떤 글이 '매력'적인데? 정답은 없지만 정도는 확실하다. '사람들이 읽기 편하게'. 타겟 오디언스에 따라,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따라 톤앤매너는 달라지기겠지만 방향은 언제나 동일하다. 특히 모..
좋은 목소리 만드는 꼼수 3가지
2019. 4. 8. 11:43대학시절 쇼호스트를 준비하며 스피치 학원에서 알게 된 30대 중반의 CEO가 있었다. 직접 영업도 하고, 제안 발표도 하던 그는 현장에서 목소리 때문에 자신감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학원을 찾았다. 그렇게 바쁜 와중에 학원까지 다닐 정도였으니 꽤나 절실한 상태였을 터. 물론 약 3개월 간의 피나는 노력 끝에 한층 훌륭한 목소리를 갖게 되긴 했지만 말이다. 스피치 학원을 약 2년 정도 다니며 느낀 사실. 생각보다 많은 CEO들이 목소리에 많은 컴플렉스를 가지고 있었다. 물론 위의 사업주처럼 학원을 다닌다면 괜찮겠지만, 그마저도 힘든 사업주도 많을 것. 그래서 그 당시의 경험을 살려, 직접 스피치 학원에서 배운 노하우를 전수해보려고 한다. 좋은 목소리를 만드는 정석, 호흡과 공명, 그리고 딕션. 좋은 목소리를 ..
KPI 설정? CSF(핵심성공요인)부터 도출해야
2019. 3. 13. 08:00보통 마케팅 프로젝트에서는 핵심성과지표(이하 KPI, Key Performance Index)가 자주 활용되는데요. 종종 어떤 지표를 얼마나 잡아야 할 지 감이 잡히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활용하는 기법이 바로 핵심성공요인(이하 CSF, Critical Success Factor)입니다. 핵심성공요인 = Critical Success Factor = CSF 'CSF(Critical Success Factor)' 란? 핵심성공요인 CSF는 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한 핵심 내부역량이며, 목표 달성을 위해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필수 요소입니다. "핵심성공요인"의 개념은 1960년대에 매킨지 컨설팅사의 D. Ronald Daniel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이후, 80년대 말 슬론 경영대학의 John F...
올바른 KPI 지표 설정, OOO부터 알아야.
2019. 3. 1. 08:00KPI(Key Performance Indicator), 즉 핵심성과지표는 기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성과지표를 의미합니다. KPI를 설정하면 첫째 비즈니스의 목표를 수립할 수 있고, 둘째 비즈니스의 방향이 올바르게 진행되고 있는지 모니터링을 할 수 있으며, 셋째 완성된 프로젝트를 되돌아보고 세부 활동들이 얼마나 유효했는지 평가할 수 있게 되죠. 이렇게 여러 장점을 가진 KPI는 현대 기업 경영에서 보편적인 경영 수단으로로 자리 잡은지 오래입니다. 하지만 대다수의 기업들은 KPI를 설정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을 겪을 때가 많습니다. 목표는 어떻게 잡아야 하는지, 어떤 성과를 얼마나 측정해야 하는지도 잘 모른채 감에 의존해서 KPI를 잡을때가 많죠. 이는 KPI에 대한 잘못된 이해 때문입니다. KPI는 숫자..
프로 마케터에게 배우는 영업의 기술 5가지
2019. 2. 26. 08:00중소기업 사업주를 만나다 보면 공통점을 발견한다. 영업 하난 선수다. 그와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나도 모르게 빠져든다. 말을 잘할 뿐 아니라 인간적인 매력까지 있다. 그래서 규모가 어느 정도 갖추어졌더라도 여전히 현장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는 사업주를 많이 본다. 하지만 이러한 영업의 귀재도 고민이 있다. 우리 회사의 '공격수'는 자신 밖에 없다는 것이다. 규모가 점점 커지면서 경영활동뿐 아니라 영업까지 하기는 많이 벅차 보였다. 물론 사업주가 영업에 능력 있는 직원을 현장에 데리고 다니면서 2인자로 키우는 방법이 최고다. 하지만 일일이 그러기도 쉽지 않다. 그래서 준비했다. 적어도 이것 만큼은 알려주고 직원을 영업에 투입시켜보길 바란다. 그만큼 기본이다. 초심으로 돌아가 보고 싶은 사업주나 영업력이 절실..